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증권거래세란?

by creator well 2025. 7. 1.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거래할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세금 중 하나입니다. 특히 주식투자가 대중화된 오늘날, 이 세금에 대한 이해는 투자 수익을 정확히 계산하고 세무 상 불이익을 피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본이득세(양도소득세)와 혼동하기도 하지만, 증권거래세는 주식 '매도' 시점에 과세되는 거래세로, 수익 여부와 관계없이 부과됩니다.

증권거래세란? 주식 매도 시 꼭 알아야 할 세금 정보


1. 증권거래세란 무엇인가요?

**증권거래세(증거세)**는 유가증권을 매도할 때 정부가 부과하는 간접세입니다. 이 세금은 주식, 증권, 권리증서 등을 매도하는 과정에서 거래금액에 일정 비율로 자동 징수됩니다.

  • 매수 시에는 과세되지 않으며, 오직 매도 시에만 부과됩니다.
  • 이익을 보지 못했더라도, 매도 자체만으로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2. 증권거래세의 목적

증권거래세는 단순히 세수 확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 국가 재정 확보: 활발한 주식 거래로 인한 세수 증대
  • 📉 투기적 거래 억제: 지나친 단타 매매를 억제하여 시장 안정화
  • ⚖️ 세금의 형평성 확보: 소득에 관계없이 누구나 동일 비율로 납부

3. 과세 대상 거래

과세 대상 예시

유가증권 코스피 상장주식, 코스닥 상장주식
비상장주식 OTC(장외거래) 포함
권리증서 주식워런트증권 등 일부 증권

※ ETF, ETN 등 일부 금융상품은 증권거래세가 면제되고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4. 증권거래세 세율 (2024년 기준)

거래 시장 세율

코스피 0.20%
코스닥 0.20%
코넥스 0.10% (2025년 폐지 예정)
비상장주식 0.43%

💡 예시: 코스피 주식을 1,000만원에 매도할 경우, 0.20%인 2만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5. 납부 방법

개인이 따로 세금을 납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 증권사(거래 증권사)가 매도 시점에 자동으로 원천징수하며, 국세청에 대신 납부합니다.

즉, 매도 금액에서 증권거래세가 자동 차감된 후 계좌로 입금됩니다.


6. 양도소득세와의 차이점

구분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과세 시점 매도 즉시 매년 5월 신고
과세 기준 거래금액 전체 순이익 (차익)
납세 방식 자동 원천징수 본인이 신고 및 납부
적용 대상 모든 매도자 일정 조건 충족 시 납세

2025년부터 일부 대주주 외 일반 투자자에게도 양도소득세가 확대 적용되며, 증권거래세는 점진적으로 폐지 또는 조정될 예정입니다.


7. 투자자가 주의할 점

  • 빈번한 매매는 수익보다 세금 손해가 클 수 있음
  • 거래금액이 클수록 세금도 비례해서 증가
  • ETF 등 면세 상품 활용 전략 고려 필요

단기 매매나 비상장주식 거래 시에는 0.43%의 높은 세율이 적용되므로 거래 전략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8. 결론: 세금까지 고려하는 똑똑한 투자자 되기

주식투자의 성패는 단순한 수익률이 아닌, 수익에서 세금을 차감한 실수익률로 결정됩니다. 특히 증권거래세는 수익 여부와 관계없이 무조건 부과되기 때문에, 거래 전에 반드시 세금까지 계산에 넣어야 합니다.

앞으로 다가올 양도소득세 확대와 관련한 법 개정도 꾸준히 확인하고, 똑똑한 투자와 함께 올바른 세금 전략을 세워보세요.